Sayart.net - [SayArt] "Exhuma" Lauded for Korean Peninsula Map and Cultural Features in Posters _”파묘” 포스터 속 한반도

  • September 05, 2025 (Fri)
cover image

[SayArt] "Exhuma" Lauded for Korean Peninsula Map and Cultural Features in Posters _”파묘” 포스터 속 한반도

Published March 24, 2024 10:48 PM

2024,Mar 25 - The movie "Exhuma"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because to its powerful poster. The attention to detail in representing the geographical nuances of the region, along with subtle cultural elements, has garnered praise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s alike. This meticulous approach not only adds depth to the visual storytelling but also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creators' dedication to authenticity and immersion. As a result, "Exhuma" stands out as a commendable example of how artistic expression can celebrate diversity.


This poster created the shape of the Korea’s peninsula by using the shape of the soil and the placement of the people, rather than simply showing the faces of the people seen from the ground. This poster was created from the beginning with a pen art motif rather than a photo. “Poncho”, a freelance illustrator, uploaded a poster of a dead grave drawn with pen art to artist’s social media, and immediately after uploading it, it became a hot topic, receiving 6 million views, 20,000 retweets, and 25,000 likes. After seeing this, the marketing manager of the movie Exhuma contacted the author of Poncho directly and created a special poster commemorating the 5 million mark using artist’s poster as a motif.


"We all get excited whenever the work and posters we work on get such a big response from the audience," said Empire Studio. "We knew that "Exhuma" was an intense movie worthy of an intense poster design, but we are still impressed by its success."


The studio utilized a single poster to highlight the foreboding and somber tone of "Exhuma." The company stated, "Every character displayed their symbolic appearance and acting that we wanted to capture in the poster."


"Through the positioning of the characters in the poster, we always aim to convey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between each individual," Empire Studios said. Along with the tomb motif, we focused specifically on the characters' eyes while creating the poster for "Exhuma”. "We wanted the audience to wonder what they were looking at, and we wanted to provoke the fear of the invisible evil that the characters would soon face," the studio said.


Empire Studios notes that while it attempts to connect cultural attitudes to foreign and Korean posters, "we often get hints from the work and the good itself," it also adds. In reality, what we do is try to capture the work's original spirit; if we are successful in doing so, we will be able to interpret the work's cultural and emotional meanings.


영화 파묘가 강렬한 포스터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지역의 지리적 뉘앙스와 미묘한 문화적 요소를 세심하게 표현해 평단과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세심한 접근 방식은 시각적 스토리텔링에 깊이를 더할 뿐만 아니라 진정성과 몰입도를 추구하는 창작자의 헌신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파묘는 예술적 표현이 어떻게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로 돋보입니다.


이 포스터는 단순히 땅 속에서 바라본 인물들의 얼굴이 아닌 흙의 모양과 인물의 배치를 이용해 대한민국의 국토 모양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포스터는 처음부터 사진으로 제작 된 것이 아닌 펜 아트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습니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인 폰초 작가는 펜아트로 그려낸 파묘 포스터를 자신의 SNS에 업로드 했고, 업로드 직후 600만 조회수 2만 리트윗, 2.5만 좋아요를 받으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본 영화 파묘의 마케팅 담당자는 폰초 작가에게 직접 연락하여 그녀의 포스터를 모티브로 삼아 500만 기념 특별 포스터를 제작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최근 스타뉴스에 “우리가 작업하는 작품과 포스터가 관객들로부터 이렇게 큰 호응을 얻을 때마다 우리 모두는 신난다”고 말했습니다. 파묘가 강렬한 포스터 디자인에 어울리는 강렬한 영화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성공에 감동받았습니다."

스튜디오는 파묘의 불길하고 침울한 톤을 강조하기 위해 포스터 한 장을 활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소속사는 “모든 캐릭터가 포스터에 담아내고 싶었던 상징적인 모습과 연기를 보여줬다”고 전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포스터 속 캐릭터의 위치 지정을 통해 우리는 항상 각 개인 간의 관계와 계층 구조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했습니다. 작가는 파묘 포스터를 만들면서 무덤 모티브와 함께 등장인물의 눈빛에 특히 집중했다고 말했습니다. 작가는 “관객들이 자신이 무엇을 보고 있는지 궁금하게 만들고 싶었고, 등장인물들이 곧 직면하게 될 보이지 않는 악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외국 포스터와 한국 포스터에 대한 문화적 태도를 연결하려고 시도하면서 "우리는 종종 작품과 좋은 점 자체에서 힌트를 얻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하는 일은 작품의 본래 정신을 포착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작품의 문화적, 정서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라고 말 했습니다.

Sayart / LUHA LEE 기자 luhachloe@gmail.com 

2024,Mar 25 - The movie "Exhuma"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because to its powerful poster. The attention to detail in representing the geographical nuances of the region, along with subtle cultural elements, has garnered praise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s alike. This meticulous approach not only adds depth to the visual storytelling but also serves as a testament to the creators' dedication to authenticity and immersion. As a result, "Exhuma" stands out as a commendable example of how artistic expression can celebrate diversity.


This poster created the shape of the Korea’s peninsula by using the shape of the soil and the placement of the people, rather than simply showing the faces of the people seen from the ground. This poster was created from the beginning with a pen art motif rather than a photo. “Poncho”, a freelance illustrator, uploaded a poster of a dead grave drawn with pen art to artist’s social media, and immediately after uploading it, it became a hot topic, receiving 6 million views, 20,000 retweets, and 25,000 likes. After seeing this, the marketing manager of the movie Exhuma contacted the author of Poncho directly and created a special poster commemorating the 5 million mark using artist’s poster as a motif.


"We all get excited whenever the work and posters we work on get such a big response from the audience," said Empire Studio. "We knew that "Exhuma" was an intense movie worthy of an intense poster design, but we are still impressed by its success."


The studio utilized a single poster to highlight the foreboding and somber tone of "Exhuma." The company stated, "Every character displayed their symbolic appearance and acting that we wanted to capture in the poster."


"Through the positioning of the characters in the poster, we always aim to convey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between each individual," Empire Studios said. Along with the tomb motif, we focused specifically on the characters' eyes while creating the poster for "Exhuma”. "We wanted the audience to wonder what they were looking at, and we wanted to provoke the fear of the invisible evil that the characters would soon face," the studio said.


Empire Studios notes that while it attempts to connect cultural attitudes to foreign and Korean posters, "we often get hints from the work and the good itself," it also adds. In reality, what we do is try to capture the work's original spirit; if we are successful in doing so, we will be able to interpret the work's cultural and emotional meanings.


영화 파묘가 강렬한 포스터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지역의 지리적 뉘앙스와 미묘한 문화적 요소를 세심하게 표현해 평단과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세심한 접근 방식은 시각적 스토리텔링에 깊이를 더할 뿐만 아니라 진정성과 몰입도를 추구하는 창작자의 헌신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파묘는 예술적 표현이 어떻게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로 돋보입니다.


이 포스터는 단순히 땅 속에서 바라본 인물들의 얼굴이 아닌 흙의 모양과 인물의 배치를 이용해 대한민국의 국토 모양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포스터는 처음부터 사진으로 제작 된 것이 아닌 펜 아트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습니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인 폰초 작가는 펜아트로 그려낸 파묘 포스터를 자신의 SNS에 업로드 했고, 업로드 직후 600만 조회수 2만 리트윗, 2.5만 좋아요를 받으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본 영화 파묘의 마케팅 담당자는 폰초 작가에게 직접 연락하여 그녀의 포스터를 모티브로 삼아 500만 기념 특별 포스터를 제작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최근 스타뉴스에 “우리가 작업하는 작품과 포스터가 관객들로부터 이렇게 큰 호응을 얻을 때마다 우리 모두는 신난다”고 말했습니다. 파묘가 강렬한 포스터 디자인에 어울리는 강렬한 영화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성공에 감동받았습니다."

스튜디오는 파묘의 불길하고 침울한 톤을 강조하기 위해 포스터 한 장을 활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소속사는 “모든 캐릭터가 포스터에 담아내고 싶었던 상징적인 모습과 연기를 보여줬다”고 전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포스터 속 캐릭터의 위치 지정을 통해 우리는 항상 각 개인 간의 관계와 계층 구조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했습니다. 작가는 파묘 포스터를 만들면서 무덤 모티브와 함께 등장인물의 눈빛에 특히 집중했다고 말했습니다. 작가는 “관객들이 자신이 무엇을 보고 있는지 궁금하게 만들고 싶었고, 등장인물들이 곧 직면하게 될 보이지 않는 악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엠파이어 스튜디오는 외국 포스터와 한국 포스터에 대한 문화적 태도를 연결하려고 시도하면서 "우리는 종종 작품과 좋은 점 자체에서 힌트를 얻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하는 일은 작품의 본래 정신을 포착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작품의 문화적, 정서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라고 말 했습니다.

Sayart / LUHA LEE 기자 luhachloe@gmail.com 

Related articles

[SayArt] Van Cleef & Arpels Unveils Timeless Elegance: A Glimpse into the Seoul Exhibition
[SayArt] The Impact of Arts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Nurturing Minds Through Creativity
[SayArt] Starbucks Korea Unveils First Art Collaboration with Kim Sunwoo
[SayArt] Aimee Lee: Pioneering Hanji in America_미국에서 한지를 펼치다
[SayArt] Celebrating the Year of the Blue Dragon: Avenuel Art Exhibition_ 청룡의 해를 기념하며: 에비뉴엘 미술전

WEEKLY HO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