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Feb.5th - Aimee Lee is a leading artist and researcher known for her expertise in Hanji, traditional Korean handmade paper. Originally from New York, she studied art at Oberlin College before delving into the world of book and paper arts at Columbia College.
Her fulbright research on Hanji paved the way for her award-winning book, "Hanji Unfurled,"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Hanji studio in the U.S., located in Cleveland. Lee's artwork can be found in esteemed institutions like the Brooklyn Museum of Art an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howcasing her talent and dedication.
She has also been featured in major media outlets such as The New York Times, PBS, and CNN, highlighting her global influence. her journey reflects her passion for Hanji and her commitment to sharing this cultural heritage with others.
Aimee Lee, an expert in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explains that making Hanji is a lifelong journey, taking about a week full-time or two weeks if harvesting fibers. She suggests aging the paper for at least a year for optimal use.
Aimee emphasizes the use of paper mulberry, which is not native to the U.S., but is cultivated in her Cleveland studio and sourced from Thailand for student projects. To be more sustainable, she experiments with native American plants like milkweed.
Regarding her Cleveland studio, Lee reports positive feedback, with visitors coming from across the U.S. and abroad to learn Hanji hands-on. She notes the challenges foreigners face in learning Hanji in Korea, making her studio a valuable resource.
Aimee Lee enjoys every step of making Hanji,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transforming it into art. She prefers doing all the work herself to learn directly from the plants and fibers she uses.
For Lee, Hanji is a connection to a long tradition of papermakers. She believes in actively practicing traditions to ensure their survival.
Lastly, Lee feels responsible for passing on her knowledge and remains fascinated by Hanji's possibilities. She sees it as an ethical practice rooted in natural cycles, especially important in today's climate crisis.
에이미 리 작가는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를 전문으로 다루는 선도적인 예술가이자 연구자입니다. 뉴욕 출신인 그녀는 오벌린 컬리지에서 미술을 전공한 후 콜롬비아 컬리지에서 도서와 종이 예술의 세계를 연구했습니다.
한지에 대한 그녀의 적극적인 연구는 한지를 펼치다(Hanji Unfurled)에서 수상을 하며 시작을 알렸고, 미국 클리블랜드 최초의 한지 스튜디오를 열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브루클린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 유명 기관에서 재능과 헌신을 보여줍니다.
에이미는 또한 뉴욕타임스, PBS, CNN 등 주요 언론 매체에 소개되어 그녀의 글로벌 영향력을 부각시켰습니다. 그녀의 여정은 한지에 대한 그녀의 열정과 이 문화유산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그녀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한지 전문가 에이미 리 작가는 한지를 만드는 일이 평생의 여정이라고 말합니다. 풀타임으로 일주일, 섬유를 만들어 내려면 2주 정도 걸립니다. 최적의 사용을 위해 종이를 최소 1년 동안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에이미는 학생 프로젝트를 위해 클리블랜드 스튜디오에서 재배하지만 미국산은 아닌 태국에서 공급하는 닥나무의 사용을 강조합니다.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그녀는 유초와 같은 아메리카 원주민 식물을 가지고 실험합니다.
작가는 자신의 클리블랜드 작업실에 대해 한지를 직접 배우기 위해 미국 전역과 해외에서 방문객들이 찾아오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한지를 배울 때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언급하며 자신의 스튜디오를 귀중한 자원으로 삼고 있습니다.
에이미 작가는 한지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모든 과정을 즐깁니다. 그녀는 자신이 사용하는 식물과 섬유로부터 직접 배우기 위해 모든 작업을 직접 손수 작업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녀에게 한지는 오랜 제지 전통과의 연결고리 입니다. 전통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전통을 실천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자신의 지식을 전수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며 한지의 가능성에 여전히 매료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자연 순환에 뿌리를 둔 윤리적 실천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의 기후 위기에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Sayart / LUHA LEE 기자 luhachloe@gmail.com
2024,Feb.5th - Aimee Lee is a leading artist and researcher known for her expertise in Hanji, traditional Korean handmade paper. Originally from New York, she studied art at Oberlin College before delving into the world of book and paper arts at Columbia College.
Her fulbright research on Hanji paved the way for her award-winning book, "Hanji Unfurled,"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Hanji studio in the U.S., located in Cleveland. Lee's artwork can be found in esteemed institutions like the Brooklyn Museum of Art an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howcasing her talent and dedication.
She has also been featured in major media outlets such as The New York Times, PBS, and CNN, highlighting her global influence. her journey reflects her passion for Hanji and her commitment to sharing this cultural heritage with others.
Aimee Lee, an expert in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explains that making Hanji is a lifelong journey, taking about a week full-time or two weeks if harvesting fibers. She suggests aging the paper for at least a year for optimal use.
Aimee emphasizes the use of paper mulberry, which is not native to the U.S., but is cultivated in her Cleveland studio and sourced from Thailand for student projects. To be more sustainable, she experiments with native American plants like milkweed.
Regarding her Cleveland studio, Lee reports positive feedback, with visitors coming from across the U.S. and abroad to learn Hanji hands-on. She notes the challenges foreigners face in learning Hanji in Korea, making her studio a valuable resource.
Aimee Lee enjoys every step of making Hanji,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transforming it into art. She prefers doing all the work herself to learn directly from the plants and fibers she uses.
For Lee, Hanji is a connection to a long tradition of papermakers. She believes in actively practicing traditions to ensure their survival.
Lastly, Lee feels responsible for passing on her knowledge and remains fascinated by Hanji's possibilities. She sees it as an ethical practice rooted in natural cycles, especially important in today's climate crisis.
에이미 리 작가는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를 전문으로 다루는 선도적인 예술가이자 연구자입니다. 뉴욕 출신인 그녀는 오벌린 컬리지에서 미술을 전공한 후 콜롬비아 컬리지에서 도서와 종이 예술의 세계를 연구했습니다.
한지에 대한 그녀의 적극적인 연구는 한지를 펼치다(Hanji Unfurled)에서 수상을 하며 시작을 알렸고, 미국 클리블랜드 최초의 한지 스튜디오를 열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브루클린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 유명 기관에서 재능과 헌신을 보여줍니다.
에이미는 또한 뉴욕타임스, PBS, CNN 등 주요 언론 매체에 소개되어 그녀의 글로벌 영향력을 부각시켰습니다. 그녀의 여정은 한지에 대한 그녀의 열정과 이 문화유산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는 그녀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한지 전문가 에이미 리 작가는 한지를 만드는 일이 평생의 여정이라고 말합니다. 풀타임으로 일주일, 섬유를 만들어 내려면 2주 정도 걸립니다. 최적의 사용을 위해 종이를 최소 1년 동안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에이미는 학생 프로젝트를 위해 클리블랜드 스튜디오에서 재배하지만 미국산은 아닌 태국에서 공급하는 닥나무의 사용을 강조합니다.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그녀는 유초와 같은 아메리카 원주민 식물을 가지고 실험합니다.
작가는 자신의 클리블랜드 작업실에 대해 한지를 직접 배우기 위해 미국 전역과 해외에서 방문객들이 찾아오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한지를 배울 때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언급하며 자신의 스튜디오를 귀중한 자원으로 삼고 있습니다.
에이미 작가는 한지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모든 과정을 즐깁니다. 그녀는 자신이 사용하는 식물과 섬유로부터 직접 배우기 위해 모든 작업을 직접 손수 작업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녀에게 한지는 오랜 제지 전통과의 연결고리 입니다. 전통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전통을 실천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자신의 지식을 전수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며 한지의 가능성에 여전히 매료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자연 순환에 뿌리를 둔 윤리적 실천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의 기후 위기에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